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뉴스

심상치않은 서울 전셋값.... 작년보다 상승폭 확대

728x90
반응형

심상치 않은 서울 전셋값…작년보다 상승폭 확대

 

 

 

서울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업소에 전셋값이 게시돼 있다. <<연합뉴스 DB>>

 

올들어 0.47%↑…작년 0.35% 보다 높아

전문가 "오른 데서 또 올라 체감 부담 커"

(서울=연합뉴스) 현윤경 기자 = 새해 벽두부터 서울의 전셋값이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서울의 전셋값은 올들어 3주 만에 0.47%가 올라 전셋값 상승세가 가팔랐던 지난해 수준을 뛰어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부동산114(www.r114.com)에 따르면 올들어 17일까지 서울의 누적 전셋값 상승률은 0.47%로 나타나 지난해 같은 기간의 0.35%를 0.12%포인트 상회했다.

이에 비해 이 기간 전국의 전셋값 상승률은 0.2%, 수도권은 0.27%로 지난해 동기(각각 0.36%, 0.31%) 대비 상승폭이 작았다.

서울의 전셋값이 연초부터 치솟는 것은 저금리가 장기화되면서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속회되고 있는데다 방학을 맞은 학군 수요, 재건축 이주 수요까지 겹치며 전세물건이 품귀를 빚고 있어서다.

일선 부동산중개업소에 따르면 대치동, 잠실, 목동 등 학군 인기지역의 경우 수요자에게 인기있는 중소형 전세 매물은 아예 씨가 마른 상황이다. 이 때문에 전셋값도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송파구 잠실 리센츠 전용면적 85㎡의 경우 작년 11∼12월 전세가격이 잠깐 약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해가 바뀌기 무섭게 3천만∼4천만원 오른 6억8천만원선에 전세물건이 거래되고 있다.

잠실일번지공인중개사 김찬경 대표는 "과거에 비해 수요가 많이 줄긴 했지만 여전히 학군 수요는 이맘 때 전셋값의 주요 변수"라며 "여기에 송파구의 재건축 단지 이주 수요가 이쪽으로 옮겨붙으며 전셋값이 다시 꿈틀대고 있다"고 말했다.

대치동과 목동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 대기 수요자들이 물건을 잡기 위해 웃돈까지 걸고 있다. 이 지역 전용 108㎡의 경우 작년 말에 비해 많게는 1억원 가까이 오른 단지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의 전셋값이 고공행진을 하자 전세를 찾아 외곽으로 빠져나가는 사람들로 인해 분당 등 서울과 인접한 신도시 일부 지역의 전세가격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부동산114 통계에 따르면 지난 주 수도권 신도시 중에서는 분당(0.05%), 산본(0.03%)·평촌(0.01%) 등의 전셋값이 올랐다.

분당 로얄공인중개사 김미경 대표는 "강남에서 전세를 구하지 못한 사람들이 몰리면서 전셋값이 많이 뛰었다"며 "수리가 잘된 전용 85㎡ 아파트의 경우 작년 말과 비교해 8천만원에서 1억원까지 올랐다"고 귀띔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당초 지난해 불안한 흐름을 보였던 전세 시장이 올해는 다소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으나 연초부터 서울 등지의 전셋값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서울의 경우 서초구 등의 재건축 이주 수요와 작년에 다소 어려웠던 수능 여파로 학군 수요가 겹치며 예상보다 높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수도권이나 신도시의 경우 비수기에 숨고르기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서울은 그것마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함 센터장은 "수치로 나타나는 전세가격 상승폭은 1% 미만이지만 지난해에 전세가가 워낙 많이 뛴 상태에서 또다시 오르는 것이라 수요자가 체감하는 부담감은 상당히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가령 전셋값이 1천만원에서 5천만원 오르는 것이나 5천만원에서 9천만원으로 뛰는 것이나 상승폭은 4천만원으로 동일하지만 전자의 변동률은 400%인 반면 후자는 80%에 그치게 된다"며 "이 같은 변동률의 '착시효과'로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상승률에 비해 실제 느끼는 부담감이 더 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셋값 상승이 결국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계부채를 더 부추겨 '렌트(전세)푸어'를 양산할 것이라는 우려도 존재한다.

안명숙 우리은행 부동산팀장은 "이미 전세 거주 가구의 절반 이상이 대출을 떠안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소득이 오르는 것보다 전셋값 상승폭이 훨씬 커지며 가계부채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대부분 임차인은 전세금 대출 등으로 전세 인상분을 감당하고 있기 때문에 전세는 이제 순자산이 아니라 빚"이라며 "집주인의 이자 부담을 세입자가 떠안게 된 셈이어서 전세가격 상승세가 계속되면 '전세푸어' 문제가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ykhyun14@yna.co.kr

반응형